애완동물 사육 분야의 하나로 가정에서 많이 사육되고 있는 관상 어류에 대한 전반적인 사육 지식과 기술을 배워 애완동물 관리자로서의 전문성을 높이고 산업 현장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수중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에 맞는 수질과 환경을 조성하는 전문적인 기술을 습득한다. 담수어와 해수어로 나눠지는 관상어의 종류와 생물학적 특성, 관상어의 주요 질병에 대한 증상 발견과 대처 방법, 관상어의 번식과 사육 방법, 수중 식물의 종류와 특성 등을 학습한다.
애완동물 사육 분야의 하나로 가정에서 많이 사육되고 있는 관상 어류에 대한 전반적인 사육 지식과 기술을 배워 애완동물 관리자로서의 전문성을 높이고 산업 현장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수중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에 맞는 수질과 환경을 조성하는 전문적인 기술을 습득한다. 담수어와 해수어로 나눠지는 관상어의 종류와 생물학적 특성, 관상어의 주요 질병에 대한 증상 발견과 대처 방법, 관상어의 번식과 사육 방법, 수중 식물의 종류와 특성 등을 학습한다.
관상어의 번식 및 사육 관리, 수족관의 설계 및 제작 요령, 수족관의 전시 기법, 수족관의 관리 요령 등을 실습함으로써 관상어의 사육 관리, 관상어의 판매 및 수족관 관리 분야에서 전문 능력을 갖출 수 있다.
관상어의 번식 및 사육 관리, 수족관의 설계 및 제작 요령, 수족관의 전시 기법, 수족관의 관리 요령 등을 실습함으로써 관상어의 사육 관리, 관상어의 판매 및 수족관 관리 분야에서 전문 능력을 갖출 수 있다.
- 전공필수 (학위과정)
- 동물번식학, 동물영양학, 동물질병학(2017), 동물해부생리학(2017), 동물행동심리학, 애견유전육종학(2017)
- 전공선택 (학위과정)
- 애완동물창업실무(2017), 마케팅실무, 애완동물(2017), 애견품종학, 공중위생, 관상어류(2017), 기초그루밍(2017), 기초동물훈련(2017), 사료학(2017), 생명과학(2017), 야생동물(2017), 응용그루밍(2017)
- 전공심화 (비학위)
- 수족관 관리, 아쿠아리스트
- 일반선택 (학위과정)
- 에스프레소추출실습, 라떼아트실습, 제과제빵실습Ⅰ, 디자인론, 외식산업창업및경영, 식품학, 식생활과건강
특수동물관리사, 관상어관리사, 애견심사위원(KKC), 핸들러, 훈련사, 애견종합관리사, 애완동물사육사, 애완동물간호사, 애완동물관리사, 축산기능사, 동물매개심리상담사, 동물행동상담사, 펫파트너, 도우미동물평가사, 반려동물관리사, 반려동물장례지도사, 반려동물행동교정사, 동물교감사, 동물매개심리상담사, 동물매개복지사, 펫아로마상담사, 펫케어상담사, 애견미용사 등